주말이나 휴일에 몸이 안 좋을 때 영업 중인 약국을 찾기 위해 휴일지킴이약국 홈페이지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회원가입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말 영업 중인 약국 찾기

 

특히 노인이나 아이와 함께 사는 부모라면 주말에 약국을 자주 방문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소중한 건강을 지키기 위해 휴일지킴이약국 홈페이지를 활용해 보겠습니다.

 

휴일지킴이약국 홈페이지

휴일지킴이약국 홈페이지에서는 휴일 약국, 연중무휴 약국, 심야 약국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날짜와 시간, 지역을 선택하고 검색 버튼을 눌러주세요.

  • 지도에서 지역을 선택해 휴일에 영업 중인 약국 검색가능
  • 캘린더에서 날짜를 선택한 후 시간, 지역을 선택 후 약국 검색가능

 

약국 검색결과

검색결과 리스트에 표시된 약국은 휴일에 운영하는 약국으로 약국명, 주소, 전화번호, 운영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홈페이지의 정보와 실제 운영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반드시 전화 문의 후 방문하셔야 합니다.

 

홈페이지 정보와 실제운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약국에서 휴일근무를 이행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 상단메뉴의 [휴일지킴이약국 가이드 > 휴일지킴이불이행신고]를 통해 신고접수할 수 있습니다.

 

약국 찾아가기

약국에 전화 문의 후 찾아가야 하는데 주말운영 특성상 집에서 먼 곳에 약국이 위치할 수 있습니다. 차량을 이용할 경우 티맵을 이용하거나 대중교통 또는 도보 이동 시 네이버지도로 미리 검색 후 찾아갈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약국에서 구매한 약을 복용하는 법이나 외용약 사용법도 휴일지킴이약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메프는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또는 판매자가 고객센터 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서 자주 묻는 질문과 직접 문의를 위한 전화번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메프 고객센터 홈페이지

 

위메프 고객센터 홈페이지에서 자주 묻는 질문을 통해 대기시간 없이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문의가 집중되는 시간대에는 전화번호 문의보다 홈페이지 활용을 추천합니다.

 

위메프 고객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자주 묻는 질문

상단의 링크를 통해 자주 묻는 질문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검색창을 통해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환불 관련 문의가 있다면 검색창에 '환불'을 검색하면 관련 답변이 15개가 표시됩니다.

고객센터-환불-답변
위메프-고객센터

 

1:1 문의

자주 묻는 질문에서 원하는 답변을 찾지 못했다면 우측 상단의 [고객센터 > 1:1 문의]를 통해 직접 상담원에게 문의할 수 있습니다.

  • 1:1 문의는 위메프 로그인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 문의는 문의 유형을 선택하고 구매한 상품을 선택하고 문제가 발생한 내용을 작성하여 제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담원이 빠르게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위메프 고객센터 전화번호

 

위메프 홈페이지가 아닌 직접 상담원을 통한 문의가 필요하다면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상품의 구매, 배송 등 문의는 쇼핑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참고해 주세요.

  • 쇼핑 : 1588-4763
  • 여행, 레저, 공연티켓, e쿠폰, 지역 : 1661-4767
  • 파트너스센터 : 1644-4796

 

평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8시까지 운영하며, 주말 및 공휴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전화번호를 통해 고객센터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메프에서 상품을 판매 중인 사업자의 경우 파트너스센터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육지와 제주도 여행을 계획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비를 피해 날짜를 잡는 것인데요. 2023년 전국 장마기간을 피해 즐거운 시간 보내길 바랍니다.

지도
기후감시요소

 

2023년 전국 장마기간

 

전국 장마기간이라 함은 6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를 의미하는데요. 물론 해당 기간 내에 계속 비가 내리는 것은 아닙니다만 장마기간이므로 언제든 비가 내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날씨특보 확인하기

 

2023년 강수량 전망

기상청에서 예측한 2023년 장마기간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입니다. 즉 작년과 비슷하게 비가 내리거나 더 많이 내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 자세하게 분석하면 5~6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며, 7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미국의 기관이 제공한 13개 기후예측모델로 분석해도 비슷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지역 별 강수량 (mm)

지역 5월 6월 7월
전국 79.3 ~ 125.5 101.6 ~ 174 245.9 ~ 308.2
서울, 인천, 경기도 75.1 ~ 115 86.3 ~ 125.5 261.5 ~ 427.9
강원도 영서 87.1 ~ 118.1 89 ~ 114.3 252.7 ~ 431
강원도 영동 63.4 ~ 102.9 81.8 ~ 138 197.5 ~ 282.3
대전, 세종, 충청남도 66.4 ~ 113.8 96.8 ~ 180.6 221.9 ~ 311.5
충청북도 63.5 ~ 107.4 85.7 ~ 173.5 206.8 ~ 360.1
광주, 전라남도 110.1 ~ 131.4 118.7 ~ 213.9 206.5 ~ 279.1
전라북도 62.6 ~ 106.9 103.1 ~ 176.3 220.9 ~ 334.4
부산, 울산, 경상남도 105.4 ~ 157.2 102.4 ~ 241.8 221.6 ~ 322.1
대구, 경상북도 56.4 ~ 109 83 ~ 147.3 184.1 ~ 260.5
제주도 97.7 ~ 178.9 154.6 ~ 255.8 148.7 ~ 295.1

 

이상으로 2023년 장마기간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육지와 제주도 날씨와 각 지역 별 강수량을 확인해 비 장마 피해를 최소화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넷플릭스 결제수단을 한 번 선택하면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간단한 결제수단 변경을 통해 돈을 절약할 수 있다면 안 할 이유가 없겠죠.

 

넷플릭스 결제수단과 돈 절약

넷플릭스 결제수단 변경을 통해 돈을 절약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카드를 2개 이상 사용하면서 통신사가 본인 명의인 경우에 가능합니다.

 

 

넷플릭스 결제 시, 카드 포인트를 추가로 지급하는 등의 혜택을 가진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결제수단을 변경해 모든 카드포인트를 현금으로 변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차피 매월 결제되는 금액이라면 혜택을 최대한 받아서 현금으로 변환 후 사용한다면 결국 넷플릭스 월 결제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사용 중인 카드사 홈페이지를 방문해 넷플릭스 결제 시 포인트 지급과 같은 혜택이 존재하는지 살펴본 후 아래의 결제수단 변경 방법을 참고해 주세요.

 

📖 혜택 좋은 카드 바로가기

 

넷플릭스 결제수단 변경

넷플릭스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통신사 결제 중 한 가지를 선택하게 되어 있습니다. 회원가입 후 무료체험을 이용할 때 카드 정보를 입력한 것 말고는 변경한 적이 없다면 아래 방법을 참고해 주세요.

 

※ 넷플릭스 모바일 앱과 PC에서 모두 진행할 수 있으며, 변경할 결제 카드를 미리 준비해 주세요.

 

  1. 넷플릭스 홈페이지 또는 앱 실행
  2. [로그인 > 계정 > 결제 정보 관리]를 통해 새로운 결제 수단 등록
  3. 결제 수단을 등록한 후 전화번호 인증 진행
  4. 결제 수단이 추가된 후 [결제 정보 관리]에서 기본 결제 수단 변경 및 삭제 가능
  5. 혜택이 좋은 카드를 주 결제 카드로 등록

ibk 기업은행 인증센터에서는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와 금융인증서를 조회하고 발급 및 폐기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이용 중인 타기관 인증서를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ibk 기업은행 인증센터

 

금융 및 공동인증서는 은행 거래 시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 온라인 인감도장을 찍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 금융인증서로 모든 금융거래가 가능해지고 있으나 간혹 대출을 실행할 때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니 두 가지 모두 발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업은행-공동인증서-발급-등록-복사-갱신
기업은행-인증센터

 

기업은행 인증센터 바로가기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발급

과거 공인인증서인 공동인증서는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으며 기업은행 인증센터로 이동 후 좌측의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메뉴를 클릭하세요.

공동인증서-메뉴
공동인증서-메뉴

 

공동인증서 발급 및 조회

 

공동인증서는 1인 당 1개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의 공동인증서가 있다면 타기관 등록 메뉴를 이용하거나 삭제 후 다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인증서발급/재발급] 메뉴를 통해 새롭게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인증서관리] 메뉴를 통해 기존에 발급한 인증서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인증서갱신 및 폐기] 인증서 만료날짜를 갱신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 폐기할 수 있습니다.

 

다른 은행이나 기관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를 기업은행 거래 시 사용하고 싶다면 [타행/타기관인증서등록] 메뉴를 이용해 주세요.

  1. 타행 인증서 비밀번호 입력
  2.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ARS 인증
  3. OTP 인증 후 타행 공동인증서 발급 완료

 

공동인증서 폐기

공동인증서는 1인당 1개만 발급받을 수 있다 보니 폐기를 해야만 다른 기관의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인증서폐기] 메뉴에서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를 입력 후 인증서 비밀번호를 통해 폐기

 

금융인증서 발급

금융인증서는 공동인증서보다 간편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좌측 메뉴에서 [금융인증서 발급/재발급]을 클릭하세요.

금융인증서-메뉴
금융인증서-메뉴

  1. 주민등록번호, 기업은행 계좌번호, 비밀번호 입력
  2. ARS 및 OTP 인증
  3. 인증서명, 전화번호, 이메일 등 입력 후 발급 완료

 

금융인증서 발급이 완료되면 인증 시 이름, 휴대폰번호, 생년월일을 입력하면 확인코드가 생성됩니다. 확인코드를 휴대폰의 문자로 답장을 보내서 인증할 수 있습니다.

 

타기관 금융인증서 등록

이미 다른 은행이나 기관에서 금융인증서를 발급받은 경우, 좌측 메뉴에서 [타행/타기관인증서등록]을 클릭합니다.

  1. 주민등록번호 입력
  2. ARS 인증 요청
  3. OTP 인증 후 타기관 금융인증서 등록 완료

 

타기관 금융인증서 등록이 완료되면 기업은행 거래 시 해당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거래를 종료할 경우 [타행/타기관인증서해제] 메뉴를 이용해 주세요.

 

금융인증서 폐기

더 이상 기업은행에서 발급한 금융인증서를 금융거래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금융인증서 폐기] 메뉴를 통해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폐기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