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인 분들이 씹는 즐거움 되찾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선호하는 것은 임플란트를 하는 것입니다. 가격 지원과 혜택이 다른 나이대보다 좋기 때문인데요. 임플란트를 하기 전 주의사항으로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를 총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65세 이상 임플란트 혜택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한 군데 씩 고장 나기 마련입니다. 대표적으로 음식을 씹지 못하거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증상이 65세 이상에서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만 65세 이상인 분들에게 임플란트 혜택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 만 65세 이상이라면 임플란트 가격이 절반 이하

건강보험 가입자이면서 만 65세 이상인 분들은 자기 부담금 30%만 지불하고 임플란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받게 됩니다. 임플란트 비용이 100만 원이라면 30만 원만 부담하고 치료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죠.

 

또한 의료급여 대상자나 차상위 대상자 중에서 희귀난치성질환자, 만성질환자 등은 자기 부담금이 10~20%까지 낮아지게 되어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현재 기준으로 임플란트 개수는 평생 2개까지 보험적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치아 건강이 좋지 못하여 임플란트가 여러 개 필요한 환자라면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치아가 하나도 없는 완전 무치악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혜택을 받을 수 없어 여전히 아쉬운 상황인데요. 임플란트 보험확대 논의가 진행되면서 무치악 대상자 보험 적용도 고려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보험 지원 임플란트

임플란트의 보철물은 PFM, 지르코니아, 금으로 구분됩니다. 여기서 PFM만 보험 지원이 가능한 보철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병원에서 지르코니아나 금으로 임플란트를 진행할 경우, 보험을 적용받을 수 없습니다.

>> 임플란트의 허리를 담당하는 어버트먼트

 

65세 임플란트 주의사항

아무리 기술이 좋아졌다고 하더라도 임플란트는 잇몸을 절개하는 작업을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노인일수록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우며 회복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하기 전 반드시 컨디션 관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소 임플란트 시술을 받기 한 달 전에는 음주를 삼가고 식사를 거르지 말며 더위나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임플란트를 환자의 잇몸에 이식시키는 작업은 의사가 진행하게 되는데요. 수술 장비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결국 사람이 시술을 하게 됩니다. 일반 치과에 임플란트 문의를 하는 것보다 임플란트 치과라고 강조하는 곳에 문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임플란트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의사들이 다수 있을 확률이 높으며, 풍부한 경험을 통해 성공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마무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피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 반드시 상담 시 이러한 사실을 의사에게 전달해야 합니다. 잇몸을 절개하면 출혈이 멈추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플란트 보험급여 신청하기

병원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하셨다면 건강보험공단에 대상자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건강보험공단에 제출한 등록신청서를 통해 보험 대상자 결과를 통보받게 되는데요.

 

가급적이면 임플란트 시술을 받기 전에 임플란트 대상자 자격 조회를 통해 등록여부를 확인하고 시술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상단 링크를 통해 요양기관정보마당 홈페이지 접속
  2. 좌측 화살표를 클릭해 '업무메뉴' 활성화
  3. 검색창에 "임플란트"를 검색하고 '임플란트 대상자 자격조회' 클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