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가 고장 나서 보험사에 연락했는데 가입된 차량이 아니라는 답변을 듣는다면 매우 황당할 것입니다. 자동차보험 가입 이력을 통해 내 차 보험사를 확실하게 알 필요가 있으며 할증, 과태료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 가입 이력

자동차 고장 빈도는 긴 편이기 때문에 가입한 보험사를 혼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변경하기 전 보험사 연락처를 기억하는 등의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보험 가입 이력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자동차365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로그인

우측 상단에 [로그인]을 클릭하고 휴대폰이나 금융인증서로 로그인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계정이 없다면 하단의 [회원가입 바로가기]를 클릭해 주세요.

자동차365
자동차365-로그인

  •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한 번의 회원가입으로 해당 사이트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보험가입정보

로그인을 한 후에 회면 중앙에 [보험가입정보]를 통해 보험사와 만료일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가 고장 났거나 사고발생 시 해당 보험사 연락처를 통해 접수하시면 됩니다.

자동차365
자동차365

 

3. 기타 이력

자동차365에서는 보험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검사, 정비, 압류, 튜닝, 전손처리 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의 [마이페이지]로 이동한 후 화면 하단의 "자동차 통합 이력"을 참고해 주세요.

자동차상세내역
자동차상세내역

 

자동차보험 할증 조회

 

자동차 사고가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는데 보험료 할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한 경우 보험금이 2배 까지도 증가할 수 있는데요.

 

자동차보험 할증은 사고뿐만 아니라 차종, 연식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어떤 분야에서 할증이 발생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자동차보험료 할증 조회시스템(prem.kidi.or.kr) 접속
  2. [할인, 할증요인 조회]에서 [자세히보기]를 클릭합니다.
  3.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휴대폰 인증을 진행합니다.
  4. 할증 요인 분석을 위해 보험에 가입된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이용중인 보험 만기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전계약vs현재계약]을 클릭하고 만기일이 한 달 이내라면 [현재계약vs갱신계약]을 클릭하세요.
  6. 변동요인에는 보험요금이 증가한 경우 "할증", 감소한 경우 "할인"이 표시됩니다.

자동차보험-할증-비교
자동차보험-할증-비교

할증 조회를 바탕으로 보험사에 연락해 사유를 물어볼 수 있으나, 법규가 변경되어 보험료가 인상된 경우라도 할증으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할증 조회는 참고 정도만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할증 최소화하는 방법

자동차 운전 중 3년 이내에 사고 발생내역이 존재한다면 할증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사고발생 후 지급받은 보험금과 할증으로 인해 증가하는 자동차보험금을 비교해 할증액이 더 크다면 보험사 환입을 통해 할증 수준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 조회

이와 별도로 제한속도 위반(스쿨존, 장애인, 노인보호 구역)을 2회 하면 보험료가 20% 상승하며, 버스전용차로를 위반하면 10%의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 할증 조회에서 [최근 2년 법규위반경력]에 횟수가 표시되며 클릭 시,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