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MTS는 미국 주식 시세를 15분 지연해서 받아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CBOE는 미국 주식을 15분 지연 없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아옵니다. CBOE는 아래를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CBOE 뿐만 아니라 실시간 시세를 받아오는 사이트로 야후 파이낸스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을 매수하려면 MTS 호가창을 보고 가격을 입력해야 하는데 지연이 된다면 정확한 가격을 입력할 수 없죠.

 

*MTS란 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으로 스마트폰에서 주식을 사거나 팔 수 있는 어플입니다.

 

즉 해외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격과 내가 현재 보고 있는 가격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의 시세가 하락하고 있어 매수하려고 하지만 실시간 시세로는 하락이 끝나고 상승할 경우 주문이 체결되지 않습니다. 시세는 15분 지연되어 보이지만 주문체결은 실시간 시세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조금 번거롭긴 하지만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와 호가창도 보여주는 무료 사이트 CBOE를 이용하면 위와 같은 문제없이 미국 주식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 실시간 시세"

제가 처음 주식을 시작했을 때, 키움 증권 미국 주식에서 실시간 시세를 몇 달 동안 무료로 제공하는 이벤트 등을 진행했었습니다.

 

당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했었는데요. 키움증권에서 40달러 무료지급 이벤트를 진행하는 기간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위와 같은 이벤트가 없다면 금액을 지불하고 실시간 시세를 확인하는 것보다 PC와 스마트폰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CBOE를 추천합니다.

 

▶▶▶ CBOE 사이트 바로가기

 

 

 

 

CBOE 활용하기

저는 미국주식 거래를 MTS로 이용하기 때문에 CBOE 사이트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접속합니다. MTS와 CBOE를 자주 들락날락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CBOE 사이트에 접속하면 호가창을 볼 수 있습니다. 상단 입력 칸에 원하는 티커를 치면 실시간 호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티커란 특정 주식의 약어로 스타벅스는 SBUX라는 티커를 가지고 있습니다.

 

티커 입력 후 돋보기를 클릭하면 하단에 BIDS와 ASKS의 Price를 볼 수 있습니다. BIDS는 매수, ASKS는 매도를 의미하고 Price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상단의 박스를 통해 현재 가격과 최근 거래된 가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박스 좌측 칸은 현재 가격의 물량이 표시됩니다. 실제 거래시간에 숫자가 표시되고 실시간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BOE 사이트를 이용해 실시간 호가를 확인하고 MTS로 돌아와 원하는 금액을 입력해 주식을 매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렸습니다.

 

매월 일정 금액 이상 주식을 매수하면 무료로 실시간 시세를 지원하는 MTS도 존재합니다.

 

두 달에 한 번씩 매수를 진행하면 실시간 시세는 유료로 전환되며 비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음 편하게 CBOE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MTS와 CBOE 사이트를 번갈아 가며 보는 것이 귀찮다면 MTS 실시간 시세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관련 글

◎ 구글 스프레드시트로 국내, 미국 주식 시세를 확인하고 손익 계산해보자 ▶▶▶ 바로가기

◎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미국 ETF - SPY, VOO, QQQ ▶▶▶ 바로가기

+ Recent posts